2025년 2월 13일 마스레터가 도착했어요! 코스피 2548.39 ▲9.34(+0.37%)
나스닥 19649.95 ▲6.09(+0.03%)
원-달러 환율 1,453.50 ▲1.00(+0.07%)
직전 거래일 장 마감시 기준 |
|
|
⏰ 20초만에 읽는 2월 13일 마스레터 ⏰
🌎 미국 증시: CPI 쇼크, 혼조세
-
1월 CPI(소비자 물가지수) 예상치 상회(3.0%)로 하락 출발했으나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으로 낙폭 축소
-
다우 0.50%↓ S&P500 0.27%↓ 나스닥 0.03%↑
-
미 10년물 금리 4.63%대 급등, WTI 2.66% 하락
🔥 주요 이슈
-
트럼프-푸틴 통화로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개시 합의
-
모디 인도 총리 방미 앞두고 상호관세 발표 예정(자동차·제약 제외 가능성)
📊 특징주
-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AI·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10% 급등
-
업스타트(UPST): 매출 가이던스 상회로 21% 급등
-
리프트(LYFT): 예약액 가이던스 하회로 13% 급락
🌈 한국증시 : 조선, 방산주 강세
-
코스피 상승, 코스닥 하락 마감
-
미 군함 수주 기대감으로 조선·방산주 강세
-
로봇주 차익실현 매물 출회
📋 주요 테마
-
우크라이나 재건: 1200조원 규모 인프라 복구 사업 기대
-
AI 반도체: 삼성전자 천안캠퍼스 엔비디아 관계자 방문, HBM 생산라인 점검
-
창투사: 메타의 한국 AI칩 설계 스타트업 인수 논의 영향
|
|
|
다우존스: 44368.56 ▼225.09(-0.50%)
나스닥: 19649.95 ▲6.09(+0.03%)
S&P500: 6051.97 ▼16.53(-0.27%)
|
|
|
뉴욕증시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하락 출발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기대감으로 낙폭을 축소하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 0.50% 하락, S&P500 0.27% 하락, 나스닥 0.03%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63%대로 급등했으며, 국제유가는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
|
1. 1월 CPI 예상치 상회로 인한 금리인하 기대감 약화
1월 CPI가 전월비 0.5% 상승하며 2023년 8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주거비 상승이 전체 CPI 상승의 약 30%를 차지했으며, 에너지 지수도 1.1% 상승하며 물가상승을 견인했습니다.
2.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 상승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1시간 30분간 통화를 진행하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개시에 합의했습니다. 양측은 즉시 협상을 시작하기로 동의했으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도 논의할 예정입니다.
3. 미-인도 정상회담 앞두고 상호관세 발표 예정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회담을 앞두고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며, 자동차와 제약산업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
|
1.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FY25 매출 가이던스를 260-300억 달러에서 235-250억 달러로 하향 조정했으나, AI 수요 증가와 데이터센터 사업 확장으로 높은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 투자의견: 단기적인 가이던스 하향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센터와 AI 인프라 수요 확대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유효합니다.
2. 업스타트(UPST)
2025년 매출 가이던스를 10억 달러로 제시해 시장 예상치인 8.23억 달러를 크게 상회했습니다.
- 투자의견: AI 기반 대출 평가 시스템의 경쟁력과 수익성 개선으로 긍정적 전망이 가능합니다.
3. 도어대시(DASH)
4분기 매출이 28.7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 28.4억 달러를 상회했으며, 주문액도 예상을 웃돌았습니다.
- 투자의견: 시장점유율 확대와 수익성 개선이 지속되어 긍정적 모멘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리프트(LYFT)
4분기 매출은 16억 달러로 27% 증가했으나, 1분기 예약액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습니다.
- 투자의견: 우버와의 경쟁 심화로 단기적 실적 부진이 우려되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5. 질로우(ZG)
4분기 매출은 5.54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2025년 1분기 가이던스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 투자의견: 주택시장 침체 우려가 있어 단기적으로는 보수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6. 컴퍼스미네랄스(CMP)
JP모건이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했으며, 겨울철 한파로 인한 제설제 수요 증가가 기대됩니다.
- 투자의견: 겨울철 한파로 인한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아 단기 매수 기회로 판단됩니다.
7. 알리바바(BABA)
애플과의 AI 서비스 협력 가능성이 부각되며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투자의견: 중국 AI 시장에서의 선도적 위치 확보가 기대되어 중장기 투자가치가 있습니다.
|
|
|
코스피: 2548.39 ▲9.34(+0.37%)
코스닥: 745.18 ▼4.41(-0.59%)
코스피200: 337.23 ▲0.56(+0.17%)
|
|
|
국내 증시는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상회하며 하락 출발했으나, 트럼프-푸틴 간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기대감으로 낙폭을 축소하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코스피는 조선주와 방산주의 강세에 힘입어 0.37% 상승한 반면, 코스닥은 로봇주의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0.59% 하락했습니다. |
|
|
1. 창투사
메타가 한국 AI 칩 설계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를 논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 관련주: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나우IB, SV인베스트먼트, 린드먼아시아
2. 우크라이나 재건
트럼프-푸틴 간 종전 협상 개시 합의로 재건 사업 기대감이 부각되었습니다. 1200조원 규모의 인프라 복구 사업이 예상됩니다.
- 관련주: HD현대건설기계, 현대에버다임, 대모, 에스와이스틸텍, 혜인
|
|
|
1. AI 반도체
삼성전자 천안캠퍼스에 엔비디아 관계자들이 방문해 HBM 생산라인을 점검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 관련주: SK하이닉스, 피에스케이홀딩스, 이오테크닉스, 한미반도체, 네오셈
2. 조선/방산
미 의회에서 동맹국의 해군 함정 건조를 허용하는 법안이 발의되었습니다.
- 관련주: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
|
|
1. 전력 인프라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이 미국 빅테크 장비 수주가 임박했다고 밝혔습니다.
- 관련주: LS ELECTRIC,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일진전기, 대한전선
2. 로봇
오픈AI의 로봇 개발 착수 소식으로 관련 종목들이 주목받고 있으나, 실적 가시화 전까지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관련주: 하이젠알앤엠, 에이브이티, 로보티즈, 로보스타, 레인보우로보틱스
|
|
|
MARS만의 특별한 알고리즘으로 차트 및 재무를 분석하고 평가합니다. |
|
|
* 해당 투자기간과 수익률은 시장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
금일 오전 8시 기준으로 포착되었습니다. 오랜 기간 저평가 구간에 머물다가 매물을 소화하고 추세를 전환하고 있는 종목을 찾아주는 검색기 입니다. 스윙 포지션에 적합합니다.
- 권장투자기간 : 2주
- 권장 수익률 : 10%↑
|
|
|
원익큐브는 현재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려는 초기 반등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며 상승 동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장기 이평선들의 역배열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볼린저밴드 상단 근접은 단기 상승 모멘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
|
원익큐브는 최근 4분기 동안 매출과 수익성 모두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당기순이익이 지속적으로 10억원 이상을 유지하며 수익 창출력이 양호합니다. 현금흐름의 변동성이 있으나 3분기에 큰 폭으로 개선되어 재무 안정성이 강화되었습니다.
투자현금 지출이 증가하고 있으나 영업현금흐름이 이를 충분히 상쇄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
|
|
112일선 이상에서 거래되는 것은 단기 반등의 시그널이나, 224일선과 448일선의 역배열 상태는 아직 장기 추세 전환이 확인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112일선의 지지 여부가 향후 추세 전환의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입니다. |
|
|
볼린저밴드 상단 근접 시점에서는 과매수 위험이 있으므로, 분할 매수 전략이 필요합니다.
112일선 하향 이탈 시 즉각적인 손절매가 필요하며, 거래량 감소 시 이익실현을 고려해야 합니다. |
|
|
이평선 역배열 상태가 해소되기 전까지는 단기 트레이딩 위주로 접근하되, 224일선 돌파 시 중장기 매수 포지션으로 전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 증가와 함께 상승하는 구간에서 단계적 매수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
※ 본 서비스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
|
오늘의 마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의견을 남겨주시면 더욱 알차고 실용적인 투자정보로 찾아올 수 있습니다. |
|
|
MARS
Copyright ©2024 MARS, All rights reserv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