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8일 #미국증시 #미국특징주 #국내증시 #테마주 코스피 2328.20 ▼137.22(-5.57%)
나스닥 15603.26 ▲15.47(+0.10%)
원-달러 환율 1,470.50 ▲9.00(+0.62%)
직전 거래일 장 마감시 기준 |
|
|
⏰ 20초만에 읽는 마스레터 ⏰
🌎 미국 증시 : 혼조세, 관세 이슈
-
다우 -0.91%, S&P500 -0.23%, 나스닥 +0.10%
-
트럼프 대통령의 미중 무역갈등 심화 예고로 투자 불안 고조
🔥 주요 이슈
-
트럼프, 중국에 50% 추가 관세 경고로 무역 갈등 심화.
-
백악관, 90일 관세 유예 보도를 '가짜뉴스'로 일축하며 시장 변동성 확대.
📊 특징주
-
마이크로소프트(MSFT): 목표주가 475달러로 하향, 매수 의견 유지.
-
메타 플랫폼스(META): 목표주가 600달러로 하향, 플랫폼 경쟁력 긍정적 평가.
|
|
|
🌈 한국증시 : 폭락, 외국인 매도
-
코스피 -5.57% 코스닥-5.25%
-
외국인 대규모 매도와 공포지수 급등
📋 주요 테마
-
대통령 선거 관련주: 6월 3일 대선 일정 확정으로 정치 이벤트 불확실성 해소.
-
미중 갈등 보복 관세: 미중 무역 갈등 심화로 공급망 재편 및 소재 국산화 기대감 증가.
|
|
|
다우존스: 37965.60 ▼349.26(-0.91%)
나스닥: 15603.26 ▲15.47(+0.10%)
S&P500: 5062.25 ▼11.83(-0.23%) |
|
|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경고와 관련된 혼란 속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엔비디아가 나스닥 반등을 주도했지만, 애플은 급락하였습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하루 만에 17bp 급등하며 4.157%를 기록, 중장기물 금리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안전자산으로서 미국 국채의 지위에 대한 회의론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였습니다.
WTI 유가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2.08% 하락한 배럴당 60.70달러로 마감했습니다. 주요 투자은행들은 석유 수요 감소를 전망하며 연말 유가 목표치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
|
|
1. 트럼프 "중국에 50% 추가 관세" 경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보복 관세 철회가 없을 경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5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과는 즉시 협상에 나서겠다는 전략으로,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2. 백악관 "90일 관세 유예는 가짜뉴스" 논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외 국가에 대해 90일 관세 유예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며 증시가 급등했으나, 백악관이 이를 가짜뉴스로 일축하며 시장은 다시 하락했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 심리가 크게 흔들렸습니다. |
|
|
1. 마이크로소프트(MSFT)
제프리스는 소프트웨어 섹터 전반의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며, MSFT의 목표주가를 475달러로 낮췄습니다.
- 투자의견: 매수 의견을 유지하며, 장기적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야 합니다.
2. 메타 플랫폼스(META)
인터넷 섹터 전망 하향에 따라 META의 목표주가를 600달러로 조정했으나, 매수 의견은 유지했습니다.
- 투자의견: 단기적 조정에도 불구하고 플랫폼 경쟁력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습니다.
3. 스타벅스(SBUX)
매크로, 즉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우려로 베어드가 투자의견을 outperform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 투자의견: 경기 민감도가 높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4. 넷플릭스(NFLX)
광고 사업 성장과 가격 결정력으로 실적 가시성이 높다는 점에서 울프 리서치가 Alpha List에 추가했습니다.
- 투자의견: 강력한 실적 기반으로 긍정적 전망이 기대됩니다.
5. 젯블루(JBLU)
관세 이슈로 주가가 하락했으나, 도산 우려가 제한적이고 M&A 가능성이 부각되며 투자의견이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 투자의견: 단기적 반등 가능성에 주목하여 접근하시길 권장합니다.
6. 로쿠(ROKU)
재무구조 개선으로 밸류에이션 안정성이 강화되며 투자의견이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되었습니다.
- 투자의견: EBITDA 개선이 긍정적이며 추가 상승 여력 기대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7. 달러 트리(DLTR)
관세 리스크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 속에 씨티가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 투자의견: 관세 이슈에도 안정적인 실적 추이가 예상됩니다.
|
|
|
코스피: 2328.20 ▼137.22(-5.57%)
코스닥: 651.30 ▼36.09(-5.25%)
코스피200: 309.60 ▼19.07(-5.80%) |
|
|
국내 코스피는 '블랙 먼데이'로 불릴 만큼 큰 폭의 하락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작년 8월 이후 최대 하락폭으로, 외국인의 대규모 매도세와 공포지수(VKOSPI) 급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대형주와 성장주 중심으로 광범위한 하락세가 나타났으며, 삼성전자(-5.17%)와 SK하이닉스(-9.55%) 등 주요 종목이 급락했습니다.
미국 시장은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이며 다우(-0.91%)와 S&P500(-0.23%)은 하락했으나 나스닥(+0.10%)은 소폭 반등했습니다. 관세 유예 관련 가짜뉴스로 장중 급등락이 있었으며, 국채 금리는 급등하고 유가는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
|
|
1. 대통령 선거일 확정
6월 3일 21대 대통령 선거일 확정으로 정치 이벤트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었습니다. 이재명 대표가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보이며 관련 테마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상지건설, 위세아이텍, 크라우드웍스, 코나아이, 시공테크
2. 미중 갈등 보복 관세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경고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가능성으로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국내 공급망 재편 및 소재 국산화 관련 종목들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 관련주: 노바텍, 유니온머티리얼, 티플랙스, 상신전자, 쎄노텍
|
|
|
1. 해운/조선
국제해사기구(IMO)는 이번주 해운 탄소세 벌금 기준을 확정할 예정으로, 국내 조선사들의 ‘친환경 연료 선박’ 수주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 관련주: 팬오션, HMM,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2. 제약/바이오
올해 바이오 기술 수출 규모가 7조 원을 돌파하며 신약 개발 및 협력 모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에이비엘바이오, 나이벡,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3. 삼성전자 실적 발표
삼성전자가 오늘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으로 영업이익이 5조 원을 웃돌것인가 주목됩니다.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 속 관련 종목들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삼성전자, 원익IPS, 리노공업, 동진쎄미켐, 네패스
4. 액침냉각
AI 데이터센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액침냉각 기술이 주목받으며 관련 기업들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 관련주: 인성정보, 케이엔솔, 삼성공조, GST, 지엔씨에너지
|
|
|
1. 2차전지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등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삼성SDI
|
|
|
※ 본 서비스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
|
MARS
Copyright ©2024 MARS, All rights reserv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