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8일 #오늘주가전망 #미국특징주 #국내정치테마주 코스피 2573.80 ▲14.01(+0.55%)
나스닥 17738.16 ▲48.50(+0.27%)
원-달러 환율 1,398.50 ▲16.50(+1.19%)
직전 거래일 장 마감시 기준 |
|
|
⏰ 20초만에 읽는 마스레터 ⏰
🌎 미국 증시 : 상승 마감, 경제 불확실성
-
다우 +0.70%, S&P500 +0.43%, 나스닥 +0.27% 상승
-
FOMC, 금리 동결 유지하며 경제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리스크 동시 경고
-
파월 의장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 매파적 발언에 6월 동결 가능성 76.8%로 상승
🔥 주요 이슈
-
트럼프 행정부, AI 반도체 수출규제 완화 가능성으로 반도체주 강세
-
트럼프 "중국과의 협상 위해 관세 선제적 인하 없다" 강경 입장 표명
📊 특징주
-
디즈니(DIS): 예상 상회 실적과 스트리밍 가입자 증가로 급등
-
슈퍼마이크로(SMCI): 실적 하회, 가이던스 하향으로 하락
-
사렙타(SRPT): 매출 가이던스 대폭 하향으로 급락
|
|
|
🌈 한국증시 : 상승세, 미중 협상 기대
-
코스피 +0.55%, 장 초반 외국인·기관 매수에 강보합 출발
-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이 시장 상승 견인, 추가 상승 모멘텀은 협상 진전에 달려
-
원/달러 환율 1,396.5원, 전일 대비 1.5원 하락
📋 주요 테마
-
반도체: 미국의 AI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삼성전자(+1.1%), SK하이닉스(+2.52%) 상승
-
방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8.8% 급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잠수함 입찰로 강세
-
정치: 이재명 후보 재판 연기로 관련주 강세
-
조선: 미 해군장관의 한국 조선업체 협력 강화 언급으로 주목
|
|
|
다우존스: 41113.97 ▲284.97(+0.70%)
나스닥: 17738.16 ▲48.50(+0.27%)
S&P500: 5631.28 ▲24.37(+0.43%) |
|
|
뉴욕증시는 파월 의장의 "경제는 여전히 건강하다"는 발언과 트럼프 행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규제 완화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소재, 부동산, 통신서비스를 제외한 전 업종이 상승하였습니다.
한편 FOMC는 금리를 동결하고 실업·인플레이션 위험 증가를 경고했으며, 이에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3.40bp 하락한 4.2750%를 기록했습니다.
달러화는 파월의 다소 매파적 발언으로 달러인덱스 0.634% 급등했고, WTI는 1.73% 하락했습니다. |
|
|
1. FOMC 금리 동결과 파월 의장 신중론
FOMC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경제 불확실성을 강조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당분간 명확성을 기다리겠다"며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고, 시장은 이를 매파적으로 해석해 6월 동결 가능성을 76.8%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2. 트럼프의 AI 칩 규제 폐지 계획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 정부의 AI 칩 수출 규제를 폐지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반도체 관련주가 급등했습니다. 이 소식에 S&P500지수가 30분 만에 40포인트 급등했으며,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등 반도체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3. 미 재무부의 SLR 규제완화 논의
미 재무부는 SLR(보완적 레버리지 비율) 규제완화에 대해 "연준이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은행들의 자본 요건 완화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입니다. |
|
|
1.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SMCI)
3분기 조정 EPS가 31센트로 시장 예상치 50센트를 크게 하회했으며, 6월 분기 실적 전망도 EPS 45센트(예상 66센트)로 부진합니다. CEO는 "일부 고객들이 플랫폼 결정을 연기했고 경제 불확실성과 관세 영향이 단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투자의견: 단기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애널리스트들은 평균 목표가 $52.15(현재가 대비 60.56% 상승 여력)로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있어 장기 투자자에게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2. 사렙타 테라퓨틱스(SRPT)
2025년 매출 가이던스를 기존 $2,900-3,100백만에서 $2,300-2,600백만으로 크게 하향 조정했습니다. 주요 제품 ELEVIDYS의 전망이 수정되었으나, 여전히 전년 대비 37% 성장이 예상됩니다.
- 투자의견: 급락에도 불구하고 애널리스트 23명 중 18명이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있으며, 평균 목표가는 $133(현재가 대비 258% 상승 여력)으로 장기적 성장 잠재력이 있습니다.
3. 월트 디즈니(DIS)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야스 아일랜드에 중동 최초이자 전 세계 7번째 디즈니 테마파크 건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아부다비 기반 회사 미랄(Miral)과 협력하여 건설할 예정이며, 중동, 아프리카 및 아시아 방문객 유치를 목표로 합니다.
- 투자의견: 중동 시장 진출은 디즈니의 글로벌 확장 전략의 중요한 이정표로, 애널리스트들은 평균 목표가 $123.75(21.3% 상승 여력)로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윈 리조츠(WYNN)
UAE 카지노 시장은 $5-8B 규모로 라스베가스 스트립($6B)과 견줄 수 있는 "상당한 시장 기회"를 제공한다고 CEO가 평가했습니다. 스티펠은 마카오 사업 부진에도 불구하고 목표가를 $113로 유지하며 매수 의견을 재확인했습니다.
- 투자의견: 미국 사업의 견조한 실적과 UAE 진출을 통한 지역 다각화 전략이 긍정적이며, 뱅크오브아메리카의 투자의견 상향은 이러한 성장 잠재력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
|
|
코스피: 2573.80 ▲14.01(+0.55%)
코스닥: 722.81 ▲0.95(+0.13%)
코스피200: 341.31 ▲2.52(+0.74%) |
|
|
코스피는 미중 협상 기대감 속에 14.01포인트(0.55%) 상승한 2,573.80으로 마감했습니다.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으나, 관세 영향을 확인하기 전까지 신중한 입장을 보여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증권가에서는 지수가 추가 상승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중 관세 협상의 구체적 진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그 전까지는 박스권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
|
1. 정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과 대장동·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 재판이 대선 이후로 연기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재명 테마주들이 일제히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관련주: 상지건설, 오리엔트바이오, 코나아이, 오리엔트정공, 형지I&C
|
|
|
1. 한한령 해제 기대
9년 만에 K팝이 중국 무대 진출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과 SM엔터테인먼트의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09.6% 증가한 326억원을 기록하면서 엔터테인먼트 관련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관련주: SM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하이브, 에스엠씨엔씨
2. 방산
잠수함 입찰과 지정학적 위기 고조로 방산주들이 일제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8.8% 상승하며 현대차 시가총액을 제치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관련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현대로템, LIG넥스원, SNT다이내믹스
3. 반도체
미국이 국가별 등급에 따른 AI반도체 수출통제 계획을 폐기할 방침이며, D램 현물가가 7.8% 추가 상승했다는 소식에 반도체 관련주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칩 수출 제한 종료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피에스케이홀딩스, 한미반도체, 에이직랜드
4. 조선
미 해군장관이 "조선업 부흥을 위해 한국업체들과 협력 강화를 원한다"고 밝히면서 조선 관련주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세진중공업, STX엔진
|
|
|
1. 중고차
미국 중고차 가격이 4월 들어 급등하면서 '관세 인플레'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고차 관련주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케이카, 레드캡투어, 롯데렌탈, 쏘카
2. 자율주행
테슬라가 페달도 없는 완전자율주행차 '사이버캡' 양산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자율주행 관련주들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모트렉스, MDS테크, 에스오에스랩,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넥스트칩
|
|
|
※ 본 서비스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
|
MARS
Copyright ©2024 MARS, All rights reserv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