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4일 #미국증시 #미국특징주 #국내증시 #테마주 코스피 2486.70 ▼19.16(-0.76%)
나스닥 16550.61 ▼1050.44(-5.97%)
원-달러 환율 1,452.20 ▼2.80(-1.16%)
직전 거래일 장 마감시 기준 |
|
|
⏰ 20초만에 읽는 마스레터 ⏰
🌎 미국 증시 : 관세 충격, 기술주 급락
-
다우 -3.98%, 나스닥 -5.97%, S&P500 -4.84%
-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
기술주와 대형주 중심 시가총액 약 2조 달러 증발
🔥 주요 이슈
-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 가능성 언급으로 시장 혼란
-
미국 상무부, 관세 철회 불가 선언
📊 특징주
-
룰루레몬(LULU): 베트남산 제품 관세 부과 우려
-
나이키(NKE): 아시아 공급망 타격 우려
|
|
|
🌈 한국증시 : 외국인 매도, 관세 면제 업종 강세
-
코스피 -0.76%, 코스닥 -0.20%
-
외국인 1조3752억 원 순매도 vs. 기관(4589억 원), 개인(7973억 원) 순매수
-
관세 면제 업종은 강세, 수출 주력주는 약세
📋 주요 테마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관련 테마주 변동성 확대 예상
-
미중 갈등: 대중국 관세 강화로 식량·희토류 관련주 주목
|
|
|
다우존스: 40545.93 ▼1679.39(-3.98%)
나스닥: 16550.61 ▼1050.44(-5.97%)
S&P500: 5396.52 ▼274.45(-4.84%) |
|
|
4월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적인 상호관세 발표로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가 커지며 폭락 마감했습니다. 3대 지수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하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악의 장세를 기록했습니다.
매그니피센트 7을 비롯한 주요 기술주와 대형주들이 급락하며 미국 500대 기업의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 약 2조 달러 증발했습니다.
미국 국채는 안전자산 선호로 강세를 보였고, 달러화 가치는 급락했으며, 뉴욕 유가는 경기침체 우려와 OPEC+ 일부 국가의 산유량 증가 소식으로 폭락했습니다. |
|
|
1.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 가능성 열려 있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가 협상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발언하며 시장에 혼란을 주었습니다. 이는 전날 대규모 관세 정책 발표 후 그의 측근들이 협상 불가 입장을 밝힌 것과 상반된 내용으로, 트럼프 특유의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2. 미국 상무부, 관세 철회 불가 선언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철회할 가능성이 없다고 강조하며, 이번 조치는 세계 무역 질서 재편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각국이 비관세 장벽을 제거하고 공정한 무역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
|
1. 룰루레몬 애슬레티카(LULU)
룰루레몬은 제품의 약 40%를 베트남에서 조달하는데, 미국이 베트남산 제품에 46% 관세를 부과하면서 공급망 타격 우려가 커졌습니다. 이는 회사의 비용 구조와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투자의견: 단기적 관세 리스크로 주가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이며, 관망이 필요합니다.
2. 나이키(NKE)
나이키는 베트남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서 상당량의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비용 증가와 수익성 악화가 우려됩니다.
- 투자의견: 관세 영향이 실적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3. 달러 트리(DLTR) & 파이브빌로우(FIVE)
할인매장인 달러 트리와 파이브빌로우는 관세 정책으로 인한 조달비용 증가 우려로 프리마켓에서 각각 -11.31%, -18.40%를 기록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저가 전략을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비용 상승 압박이 더욱 클 것으로 보입니다.
- 투자의견: 관세 리스크 완화 전까지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4. IT 메가캡
애플(AAPL) -7.76%, 엔비디아(NVDA) -6.05%, 아마존(AMZN) -6.67%, 테슬라(TSLA) -6.19%
IT 대형주들이 글로벌 무역 마찰로 인해 영업 및 비용 구조에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투자의견: 장기적 성장성은 유효하지만 단기적 변동성에 대비해야 합니다.
5. RH(RH)
RH는 가정용 가구 소매업체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실망스러운 실적 발표와 더불어 관세 및 주택시장 침체 등 복합적인 악재로 인해 프리마켓에서 31.22% 폭락했습니다. 특히, 중국 제조 기반을 멕시코로 이전하려는 계획도 발표되었습니다.
- 투자의견: 단기적 리스크가 크지만 장기적으로 공급망 재편 효과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코스피: 2486.70 ▼19.16(-0.76%)
코스닥: 683.49 ▼1.36(-0.20%)
코스피200: 332.92 ▼3.34(-0.99%) |
|
|
국내 증시는 하락하며 2486선에서 마감했습니다. 외국인은 대규모 순매도(1조3752억 원)를 기록했으나, 기관과 개인의 매수세로 장 초반 급락(-2%)에서 낙폭을 축소했습니다.
관세 면제 업종은 강세를 보인 반면, 수출 주력주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6.0%)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5.13%) 등이 상승한 반면, LG에너지솔루션(-4.26%)과 삼성전자(-2.04%)는 하락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소폭 상승해 1467.0원을 기록했습니다. |
|
|
1.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헌법재판소가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진행합니다. 탄핵 인용 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있으며, 기각 또는 각하 시 대통령 직무 복귀가 예상됩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관련 정치 테마주가 급등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관련주: 오리엔트바이오, 형지I&C, 신원종합개발, 다이나믹디자인, NE능률
2. 미중 갈등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60% 관세 공약이 현실화되며 미중 무역 긴장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산 석탄, LNG, 농기계 등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반격을 예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식량 및 희토류 관련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관련주: 미래생명자원, 삼화전자, 유니온머티리얼, 티플랙스, 대원화성
|
|
|
1. mRNA 백신 기술
국내 연구진이 mRNA 백신 작동 원리를 최초로 밝혔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관련 바이오 종목에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치료 효과 향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한미약품, 에스티팜, 위더스제약
2. AI 인공지능
AI 기술의 대중화와 유료화가 본격화되면서 관련 종목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지브리풍’ 콘텐츠 열풍으로 AI 활용도가 확대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 관련주: 셀바스AI, 알체라, 이스트소프트, 솔트룩스, 카카오
3. 관세 무풍 지대 - 방산·바이오·조선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도 방산·바이오·조선 업종은 타격을 피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방산은 글로벌 수출 증가 기대감이 높고, 바이오는 안정적 실적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셀트리온제약, HD현대중공업,
|
|
|
1. 우크라이나 재건
우크라이나 재건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관련 건설 및 농기계 업종이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 회복과 연계된 장기적 투자 테마로 평가됩니다.
- 관련주: 다산네트웍스, 삼부토건, HD현대건설기계, 대동기어, TYM
2. 반도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메모리 가격 인상을 발표하며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DDR5와 HBM 등 고성능 제품군에 대한 수요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아비코전자, 심텍, 한미반도체
|
|
|
※ 본 서비스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
|
MARS
Copyright ©2024 MARS, All rights reserv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