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4일 #미국증시 #미국특징주 #국내증시 #테마주 코스피 2465.42 ▼21.28(-0.86%)
나스닥 15587.79 ▼962.82(-5.82%)
원-달러 환율 1,461.50 ▼1.30(-0.09%)
직전 거래일 장 마감시 기준 |
|
|
⏰ 20초만에 읽는 마스레터 ⏰
🌎 미국 증시 : 폭락, 경기침체, 무역전쟁
-
다우 -5.50%, 나스닥 -5.82%, S&P500 -5.97%
-
3대 지수 모두 팬데믹 이후 최대 폭락
-
미·중 무역전쟁 격화와 경기침체 우려로 기술주 및 반도체주 중심 폭락
🔥 주요 이슈
-
중국, 미국산에 34% 보복 관세 및 희토류 수출 제한
-
3월 비농업 고용 증가(22.8만 명), 예상치 대폭 상회
-
파월 의장, 관세로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 경고
📊 특징주
-
버크셔 해서웨이(BRK.B): 안정적 현금 보유로 시장 불확실성 속 견고한 선택지
-
넷플릭스(NFLX): 광고 사업 확장과 콘텐츠 투자로 성장 잠재력 높음
-
TJX컴퍼니즈(TJX): 소비자 거래 증가로 매출 성장, 경기 방어적 성격 강점
|
|
|
🌈 한국증시 : 선방, 외국인 매도, 업종별 차별화
-
코스피 -0.86%, 코스닥 +0.57%
-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로 낙폭 제한.
-
외국인 1조 7865억 원 순매도, 개인과 기관의 매수세로 방어
📋 주요 테마
-
미중 갈등: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 발표로 글로벌 공급망 긴장 심화
-
조기 대선: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정치테마주 변동성 급등 전망
|
|
|
다우존스: 38314.86 ▼2231.07(-5.50%)
나스닥: 15587.79 ▼962.82(-5.82%)
S&P500: 5074.08 ▼322.44(-5.97%) |
|
|
4월 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경기침체 우려와 미·중 무역전쟁 긴장감 속에서 이틀 연속 폭락하며 주요 지수가 5% 이상 하락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와 이에 대한 중국의 보복 관세 발표가 시장에 충격을 줬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투매를 가속화했습니다. 기술주와 반도체주 중심으로 낙폭이 컸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주간 기준 24년 만에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한편,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장 중 3.864%까지 밀렸습니다. 달러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강세를 보였고, 유가는 무역전쟁 공포로 7% 넘게 폭락했습니다. |
|
|
1. 중국, 미국산에 34% 보복관세 및 희토류 수출 제한
중국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모든 미국산 상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희토류 7종의 수출을 즉시 제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며 글로벌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2. 미국 3월 비농업 고용 증가, 시장 예상 대폭 상회
미국 노동부는 3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전월 대비 22만8천 명 증가했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시장 예상치(13만5천 명)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다만 실업률은 소폭 상승해 노동시장 회복세가 완만하다는 점도 확인되었습니다.
3. 파월 의장, 관세 인상으로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 경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 인상이 향후 몇 분기 동안 물가를 높이고 경제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현재의 불확실성이 경제적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칠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
|
|
1. 버크셔 해서웨이(BRK.B)
버크셔 해서웨이는 2025년 들어 S&P 500 하락 대비 우수한 성과를 기록하였습니다. 워렌 버핏의 시장 변동성에 대한 예측력과 안정적인 현금 보유가 투자자들의 신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요 포트폴리오 종목인 BYD와 T-Mobile의 강세가 돋보였습니다.
- 투자의견: 장기적인 안정성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며,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도 견고한 선택지로 평가됩니다.
2. 넷플릭스(NFLX)
넷플릭스는 광고 사업 확장과 구독료 인상으로 인해 분석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주가 목표치를 $850에서 $1,100로 상향 조정받았습니다. 또한, 콘텐츠 투자 확대와 광고 기반 구독 모델의 성공이 수익성 개선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투자의견: 성장 잠재력이 높으며, 장기적으로 광고와 콘텐츠 전략을 통해 추가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TJX 컴퍼니즈(TJX)
TJX는 강력한 매출 성장과 배당금 인상, 주식 매입 프로그램 확대 등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최근 실적 발표에서 예상치를 상회하는 EPS를 기록했으며, 소비자 거래 증가가 매출을 견인했습니다.
- 투자의견: 경기 방어적 성격이 강하며,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4. 로스 스토어스(ROST)
로스 스토어스는 할인 소매업체로서 경기 약세 시기에도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키며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최근 분석가들은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 투자의견: 경기 침체 시에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이며, 가치 중심 소비자를 타겟으로 한 전략이 강점입니다.
5. 게임스탑(GME)
게임스탑은 CEO의 추가 주식 매입 소식으로 프리마켓에서 상승세를 보였으나, 비트코인 투자 발표 이후 변동성이 높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최근 12개월 기준 주가는 88%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투자의견: 단기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감안해야 하며, 장기 투자보다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
|
코스피: 2465.42 ▼21.28(-0.86%)
코스닥: 687.39 ▲3.90(+0.57%)
코스피200: 328.67 ▼4.25(-1.28%) |
|
|
국내 증시는 미국 증시 폭락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로 낙폭을 제한하며 선방했습니다.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 7865억 원을 순매도하며 2021년 8월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으나, 개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방어에 나섰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관련주가 급락한 반면, 이차전지와 유통업종은 강세를 보였습니다. |
|
|
1. 미중 갈등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에 대응해 희토류 7종의 수출 통제를 발표하며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과 인플레이션 압력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아 관련 테마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삼화전자, 티플랙스, 노바텍, 동국알앤에스, 포스코엠텍
2. 조기 대선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인해 조기 대선이 현실화되면서 정치테마주의 변동성이 급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야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되며 차기 정부 정책 방향과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라 관련 종목들이 단기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형지글로벌, 이스타코, 평화홀딩스, 대영포장, 대신정보통신
|
|
|
1. 자율주행
현대차가 세계 1위 자율주행 기업 웨이모와 AI 자율주행 기술 개발 협력을 발표하며 자율주행 테마가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 초격차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 관련주: 퓨런티어, 현대오토에버, 모트렉스, 넥스트칩, 텔레칩스
2. 방산
중국이 미국 방산기업에 대한 수출 통제를 발표하며 글로벌 방산 산업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국내 방산업체들은 국정 공백 해소 기대와 함께 수출 확대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관련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 현대로템, 풍산
3. 원통형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이 애리조나에서 원통형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을 발표하며 배터리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재료로 평가됩니다.
- 관련주: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
|
|
1. 화장품
한국 화장품은 관세 충격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유지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 견조한 수요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 관련주: 아모레퍼시픽, 한국콜마, 클리오,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2. 금
금값 상승세가 지속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금 관련 종목의 강세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고려아연, 영풍, 풍산, TKG애강, 엘컴텍
3. mRNA 백신
팬데믹 종식 이후에도 mRNA 기술은 백신 개발 및 의료 혁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관련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 관련주: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한미약품, 에스티팜, 현대바이오
|
|
|
※ 본 서비스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
|
MARS
Copyright ©2024 MARS, All rights reserv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