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3.95 ▼63.42(-2.52%) 나스닥 19391.96 ▼235.48(-1.20%) 원-달러 환율 1461.00 ▲2.70(+0.19%) 직전 거래일 장 마감시 기준 |
⏰ 20초만에 읽는 2월 4일 마스레터 ⏰
🌎 미국 증시: 하락세- 트럼프의 관세 정책 우려로 투매 발생, 이후 일부 관세 유예로 낙폭 축소
🔥 주요 이슈 - 멕시코/캐나다 관세 1개월 유예, 중국과 24시간 내 통화 예정
- 보스턴 연준 총재, 금리 추가 조정 시급성 없다고 언급
📊 특징주 - 철강주 강세 (뉴코, 스틸 다이내믹스)
- 자동차/부품, 소비재 약세 (제러널모터스, 포드, 컨스텔레이션 브랜즈)
- 로블록스, 씨티 목표가 상향으로 주목
🌈 한국증시 : 하락세- 트럼프 관세 정책 우려로 외국인/기관 대규모 매도
📋 주요 테마 - 샘 알트먼 방한: 오픈AI CEO방한 (폴라리스AI, 바이브컴퍼니)
- 희토류: 트럼프 언급으로 관심 (삼화전자, 유니온)
- 석유: 동해 유망지구 탐사 기대감 (한국석유, 한국가스공사)
|
다우존스: 44421.91 ▼122.75(-0.28%) 나스닥: 19391.96 ▼235.48(-1.20%)
S&P500: 5994.57 ▼45.96(-0.76%) |
뉴욕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우려로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 0.28%, S&P500 0.76%, 나스닥 1.20% 하락했습니다. 트럼프가 캐나다와 멕시코의 수입품에 25%, 중국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투매가 발생했으나, 이후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가 한 달간 유예되면서 낙폭이 축소되었습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 재료, 기술 섹터가 1% 이상 하락한 반면, 필수소비재와 에너지, 유틸리티는 상승했습니다. |
1. 관세 정책 변화와 협상 진전 - 멕시코 관세 1개월 유예: 멕시코가 국경에 1만명의 군인을 배치하여 펜타닐과 불법 이주민 유입을 막기로 합의.
-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추가 협상을 진행하기로 결정.
-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시진핑 주석과 통화 계획 발표
2. 통화정책 - 보스턴 연준 총재 수전 콜린스가 금리 추가 조정의 시급성이 없다고 언급.
- 트럼프의 정책 발표를 지켜볼 시간이 있다며 금리 인하 속도 조절 시사.
3. 주요 기업 동향 - 대형 기술주 약세: 애플 3.39%, 엔비디아 2.84%, 테슬라 5.17% 하락.
- 알파벳, AMD, 페이팔, 머크, 화이자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 예정.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 발표로, 관세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섹터들에 대한 변동성이 있었습니다.
1. 철강주 1-1) 뉴코(NUE): 관세 정책으로 인한 수혜 기대감으로 1.9% 상승 1-2) 스틸 다이내믹스(STLD): 무역마찰 속 철강 가격 상승 기대감으로 3.3% 상승 - 투자의견: 단기 수혜는 기대되나, 현재 밸류에이션이 높아 신중한 접근 필요
2. 기술주 2-1) 엔비디아(NVDA): Bernstein은 관세 정책의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 2-2) 아마존닷컴(AMZN): 모간스탠리는 물류 자동화 진척을 긍정적으로 평가 - 투자의견: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 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선별적 접근 추천
3. 운송/물류 3-1) 페덱스(FDX): Loop Capital이 투자의견 하향(매수→보유) 3-2) 캐나디안 내셔널 레일웨이(CNI): 무역마찰 우려로 3.4% 하락 - 투자의견: 무역마찰 장기화 우려로 당분간 비중 축소 권고
4. 자동차/부품 4-1) 제너럴 모터스(GM), 포드 모터(F), 테슬라(TSLA): 북미 공급망 차질 우려로 급락 4-2) 앱티브(APTV): 부품 공급망 차질 우려로 4.9% 하락 - 투자의견: 공급망 재편 불확실성으로 인해 단기 회피 필요
5. 소비재 5-1) 컨스텔레이션 브랜즈(STZ): 멕시코산 주류 수입 차질 우려로 5.1% 하락. 5-2) 치폴레(CMG): 멕시코산 식자재 원가 상승 우려로 2.5% 하락. - 투자의견: 원가 상승 부담으로 실적 하향 가능성 높아 비중 축소 권고
6. 게임 6-1) 로블록스(RBLX): 씨티는 결제액 추이 개선으로 목표가 상향(63달러→82달러) - 투자의견: 관세 영향과 무관한 성장주로서 매수 추천
|
코스피: 2453.95 ▼63.42(-2.52%) 코스닥: 703.80 ▼24.49(-3.36%) 코스피200: 324.55 ▼8.81(-2.64%) |
코스피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우려로 2.52% 하락한 2453.95에 마감했습니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향 관세 부과 확정과 EU도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소식에 투매가 나왔으나, 멕시코와 국경군 합의로 관세가 1개월 연기되며 낙폭을 일부 축소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 재료, 기술 섹터가 1% 이상 하락한 반면, 필수소비재와 에너지, 유틸리티는 상승했습니다. |
1. 샘 알트먼 방한: 오픈AI CEO인 샘 알트먼이 삼성전자, SK, 카카오, 크래프톤 등 국내 기업들과 AI 협업 논의 예정. - 관련주: 폴라리스AI, 바이브컴퍼니, 브리지텍, 솔트웨어, 알체라
2. 희토류: 트럼프가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공급 의향 언급하며 관심 집중 - 관련주: 삼화전자, 유니온, 포스코엠텍, STX, 삼화전기
3. 석유: 동해 유망지구 14개 중 일부가 대왕고래보다 높은 탐사 성공률 전망 - 관련주: 한국석유, 한국가스공사, 포스코인터내셔널, SK이노베이션, GS글로벌
|
1. 마약: 트럼프가 멕시코, 캐나다와의 펜타닐 차단 협력 강조 - 관련주: 비보존제약, 에이비온, 텔콘RF제약, 랩지노믹스, 바디텍메드
2. 미중갈등: 트럼프가 24시간 내 중국과 대화 예고, 합의 실패시 관세 부과 경고 - 관련주: 피델릭스, 서플러스글로벌, 마이크로투나노, 레이크머티리얼즈
3. 로봇: 오픈AI의 로봇 개발 계획 발표로 관련 산업 주목 - 관련주: 로보티즈,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스피지, 두산로보틱스, 로보스타
|
1. 바이오: 셀트리온의 차세대 항암제 글로벌 신약 도전 소식 - 관련주: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삼성바이오로직스, 보로노이, 한미약품
2. 금: 연내 3,000달러 돌파 전망으로 관심 집중 - 관련주: 고려아연, TKG애강, 영풍, 엘컴텍, 풍산
|
※ 본 서비스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오늘의 마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의견을 남겨주시면 더욱 알차고 실용적인 투자정보로 찾아올 수 있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