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3일 마스레터가 도착했어요! 코스피 2517.37 ▼19.43(-0.77%)
나스닥 19627.44 ▼54.31(-0.28%)
원-달러 환율 1458.30 ▲12.80(+0.89%)
직전 거래일 장 마감시 기준 |
|
|
⏰ 20초만에 읽는 2월 3일 마스레터 ⏰
🌎 미국 증시: 트럼프 관세 충격에 하락 마감
- 다우 0.75%↓, S&P500 0.50%↓, 나스닥 0.28%↓
- 장 초반 상승세에서 트럼프 관세 발표 후 급반전
- 국채금리 상승 및 달러화 강세
- 에너지 업종 2.74% 급락하며 전반적 하락세
🔥 주요 이슈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 부과 결정(4일 발효)
- 캐나다, 1,550억 캐나다달러 규모 미국 상품에 보복 관세 발표
- 하워드 막스 "향후 10년간 초저금리 없을 것, 연방기금금리 3.00~3.50% 유지 전망"
📊 특징주
- 월그린스부츠(WBA): 분기배당 중단 발표로 11.95% 급락
- 애플(AAPL): 서비스 매출 14% 성장, 아이폰 부진에도 4.22% 상승
- KLA(KLAC): 실적 컨센서스 상회, AI 수혜 기대감에 3.85% 상승
🌈 한국증시 : AI 충격에 코스피 하락
- 코스피 2,517.37(-0.77%), 코스닥 728.29(-0.06%) 하락
- 외국인 1,167억원 순매도 지속
- SK하이닉스 9% 급락, 삼성전자 2% 하락
- 방산·2차전지 업종 강세(한화에어로스페이스 4.53%↑, 에코프로비엠 7.11%↑)
- 원/달러 환율 1,340원대 돌파(0.8%↑)
📋 주요 테마
- AI/보안: 딥시크 충격으로 AI 보안 관련주 부각(GRT, 코난테크놀로지)
- 석유/가스: 울릉분지 51억 배럴 매장 확인(한국석유공사, 대한유화)
- 방산주: 글로벌 군수산업 확대(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
|
|
다우존스: 44544.66 ▼337.47(-0.75%)
나스닥: 19627.44 ▼54.31(-0.28%)
S&P500: 6040.53 ▼30.64(-0.50%)
|
|
|
뉴욕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결정으로 변동성을 보이며 하락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 0.75%, S&P500 0.50%, 나스닥 0.28% 하락했으며, 장 초반 상승세에서 급반전했습니다. 국채 금리는 상승하고 달러화는 강세를 보였으며, 에너지 업종이 2.74% 급락하는 등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기업 동향으로는 애플이 4분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아이폰 수출 타격 우려로 상승폭을 줄였고, 엔비디아는 CEO와 트럼프 회동 소식에 상승했다가 3.67% 하락 마감했습니다. 한편, 테슬라와 아마존은 각각 1.08%, 2.07% 상승했습니다. |
|
|
- 미국-캐나다·멕시코 관세 갈등
트럼프, 加·멕시코에 25% 관세 부과(4일 발효). 中은 10%. 캐나다 에너지 관세 10% 적용(美 내수 가격 상승 방지). 800달러 미만 소포 관세 면제 폐지(전자상거래 영향).
- 캐나다·멕시코 보복 관세 발표
加, 1,550억 캐나다달러 규모 美 상품에 25% 관세(4일·21일 단계적 적용). 멕시코, 비관세 조치 포함한 맞대응 예고.
- 하워드 막스 금리 전망
"향후 10년간 초저금리 없을 것…연방기금금리 3.00~3.50% 정체 예상". 차입 비용 상승으로 기업 성장 둔화 전망, 사모대출·채권 투자 권고.
|
|
|
1.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WBA) 분기배당 중단 발표로 프리마켓 11.95% 급락. 부채 감축 및 재무 안정화를 위해 현금 유동성 확보에 집중 중.
- 투자의견: "보유(Hold)". 재무 개선 노력 가시화 전까지 단기 변동성 주의.
2. 애플(AAPL) 서비스 매출 14% 성장(역대 최고) 기록했으나 아이폰 판매 부진(-1%) 및 중국 시장 약세 영향. 프리마켓 4.22% 상승.
- 투자의견: "매수(Buy)". 서비스 사업 성장세와 Apple Intelligence 확장으로 중장기 성장 가능성.
3. 인텔(INTC) 4분기 매출 컨센서스 소폭 상회했으나 1분기 가이던스 부진 전망(-5% YoY). 프리마켓 1.35% 상승.
- 투자의견: "중립(Neutral)". AI 반도체 경쟁력 부재와 경영진 교체 영향 모니터링 필요.
4. KLA(KLAC) 2분기 매출 30.8억 달러(전년比 +23.7%), EPS 8.20달러로 컨센서스 상회. 프리마켓 3.85% 상승.
- 투자의견: "강력 매수(Strong Buy)". 반도체 검사 장비 수요 증가 및 AI/고성능 컴퓨팅 투자 확대 수혜.
|
|
|
코스피: 2517.37 ▼19.43(-0.77%)
코스닥: 728.29 ▼0.45(-0.06%)
코스피200: 333.36 ▼3.38(-1.00%) |
|
|
국내 증시는 연휴 기간 중 발생한 딥시크 쇼크와 미국 FOMC 결과 등 대외 변수들을 반영하며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다만, 미국 증시의 반등과 국내 기업들의 실적 발표 등으로 하방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움직임과 주요 경제지표 발표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1. AI(인공지능) 딥시크의 저비용 고효율 AI 모델 등장으로 국가 간 AI 패권 경쟁 격화. AI 소프트웨어 및 보안 관련 기업들에 대한 관심 지속.
- 관련주: GRT, 코난테크놀로지, 인스웨이브시스템즈, 바이브컴퍼니, 솔트웨어, 마음AI
2. 석유 동해 울릉분지 일대에 최대 51억7000만 배럴 규모의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확인. 이에 따라 석유 탐사 및 관련 장비 업체들의 주가가 상승.
- 관련주: 한국석유공사, 대한유화, S-Oil, 화성밸브, 한선엔지니어링, 동양철관
|
|
|
1. 미-캐나다 관세 미국이 캐나다에 25% 관세 인상을 공식 통보하면서, 철강 및 알루미늄 관련 기업들의 주가 변동.
- 관련주: 포스코스틸리온, 넥스틸, 남선알미늄, 조일알미늄, 동국알앤에스
2. 자율주행 B2B 자율주행 시장이 2030년 16.4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관련주: 퓨런티어, 슈어소프트테크, 현대오토에버, MDS테크, 모트렉스
|
|
|
1. 엔터테인먼트 K-POP 인기 지속과 글로벌 확장.
- 관련주: YG PLUS,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에스엠, SM C&C, JYP Ent.
2. 탄소포집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포집 기술에 대한 관심.
- 관련주: 그린케미칼, 에코바이오, 태경비케이, KC코트렐, KC그린홀딩스
3. 반도체 AI 반도체 수요 증가와 함께 반도체 수출이 9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넘어서며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
- 관련주: 한미반도체, 와이씨, 피에스케이홀딩스, 이오테크닉스, SK하이닉스
|
|
|
※ 본 서비스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
|
오늘의 마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의견을 남겨주시면 더욱 알차고 실용적인 투자정보로 찾아올 수 있습니다. |
|
|
MARS
Copyright ©2024 MARS, All rights reserv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