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21.92 ▼14.83(-0.58%) 나스닥 19523.40 ▼268.59(-1.36%) 원-달러 환율 1,457.80 ▲2.30(+0.16%) 직전 거래일 장 마감시 기준 |
⏰ 20초만에 읽는 2월 10일 마스레터 ⏰
🌎 미국 증시: 관세 우려, 인플레이션 경계- 다우 -0.99%, S&P500 -0.95%, 나스닥 -1.36% 하락
- 2월 소비자심리지수 67.8로 전월비 4.6% 하락
- 1년 기대 인플레이션 4.3%로 급등해 투자심리 위축
🔥 주요 이슈 - 트럼프, 10~11일 상호관세 정책 발표 예정
- 연준 쿠글러 이사, 정책 불확실성 언급하며 신중한 금리정책 시사
-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미국 기업 유지 여부가 핵심
📊 특징주 - 핀터레스트(PINS): MAU 11% 증가, 실적 서프라이즈로 22% 급등
- 어펌(AFRM): 흑자전환 성공으로 13% 상승
- 테슬라(TSLA): 중국 판매량 11.5% 감소로 약세
🌈 한국증시: 미국 고용지표 경계- 미국 고용보고서 발표 앞두고 혼조세 마감
-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 우려로 변동성 확대 예상
📋 주요 테마 - 미국 관세: 철강,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예정
- AI 로봇: SK그룹의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 소식
- 방산주: 일본 방위비 증액으로 한국 영향 주목
|
다우존스: 44303.40 ▼444.23(-0.99%) 나스닥: 19523.40 ▼268.59(-1.36%) S&P500: 6025.99 ▼57.58(-0.95%) |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트럼프의 관세 발언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0.99%, 나스닥 지수는 1.36%, S&P500 지수는 0.95% 하락했습니다. 특히 미시간대의 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67.8로 전월(71.1)을 하회했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4.3%로 전월 대비 1%포인트 급등한 것이 투자심리를 크게 위축시켰습니다 |
1.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 예고 트럼프 대통령이 10~11일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며, 특히 자동차 산업을 대상으로 관세를 고려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수출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만큼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미입니다. 2. 1월 고용지표 혼조세 미국의 1월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이 14만3,000건으로 시장예상치를 하회했으나, 실업률은 4.0%로 전월 대비 개선되었습니다. 평균 시간당 임금도 전월 및 전년동월대비 각각 0.5%, 4.1% 상승하며 시장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3. 기대인플레이션 급등 2월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4.3%로 전월 3.3% 대비 1%포인트 급등했습니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최고치로, 지난 14년간 1개월 사이 1%포인트 이상 상승한 것은 5번뿐인 이례적인 상황입니다. |
1. 핀터레스트(PINS) MAU가 전년비 11% 증가하며 실적이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 투자의견: 사용자 증가와 함께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어 단기 상승 모멘텀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어펌(AFRM) 예상을 깨고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 투자의견: BNPL(선구매 후결제) 시장 성장과 함께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긍정적입니다.
3. 테슬라(TSLA) 1월 중국 판매량이 전년비 11.5% 감소하며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 투자의견: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로 당분간 주가 약세가 예상됩니다.
4. 아마존닷컴(AMZN) 환손실 등을 이유로 시장 예상을 하회하는 가이던스를 제시했습니다. - 투자의견: 단기적으로 실적 우려가 있으나, AWS 성장세를 고려할 때 중장기 투자 매력도는 유지됩니다.
5. 엘프 뷰티(ELF) 가이던스를 시장 예상치보다 낮게 하향 조정했습니다. - 투자의견: 실적 전망 하향으로 당분간 주가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6. 테이크투 인터랙티브(TTWO) GTA 신작 출시 일정 공개했으나, 결제액이 시장 예상을 하회했습니다. - 투자의견: GTA 신작 출시 기대감으로 단기 상승이 예상되나, 실적 부진으로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7. 넷플릭스(NFLX) F1 중계권 입찰 참여 및 스포츠 중계 사업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투자의견: 스포츠 중계 사업 확대를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가 기대되어 긍정적입니다.
|
코스피: 2521.92 ▼14.83(-0.58%) 코스닥: 742.90 ▲2.58(+0.35%) 코스피200: 333.89 ▼2.64(-0.78%) |
국내 증시는 미국의 고용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이 유입되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예고와 소비자심리지수 둔화로 투자심리가 약화되었습니다. 특히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4.3%로 전월 대비 1%포인트 급등하며 연준의 금리인하 지연 우려가 커졌습니다. |
1. 미국 관세 트럼프 대통령이 10일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며, 중국의 보복 관세도 예고된 상황 - 관련주: 포스코스틸리온, 넥스틸, 삼아알미늄, 조일알미늄, 피제이메탈
2. AI 로봇 머스크의 정부 구조조정 계획과 SK그룹의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 소식으로 주목 - 관련주: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티즈, 두산로보틱스, 유진로봇, 에스엠코어
3. 방산 트럼프-일본 방위비 협상 타결로 한국 방위비 증액 우려 확대 - 관련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 한화시스템, 현대로템
|
1. 우크라이나 재건 트럼프의 푸틴과의 대화 의지 표명으로 종전 기대감 상승 - 관련주: 현대에버다임, 코오롱글로벌, 대동기어, TYM, 희림
2. 양자컴퓨터 구글과 중국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 심화 - 관련주: 우리기술, 코위버, 피피아이, 아이윈, 한국첨단소재
|
1. 제약/바이오 AI 신약개발 및 비만치료제 시장 확대 기대감 - 관련주: 셀트리온, 유한양행, 삼성바이오로직스, 펩트론, 루닛
2. 자율주행 운행 데이터 기반 자율주행 고도화 및 렌터카 시장 확대 - 관련주: 현대오토에버, 퓨런티어, MDS테크, SK렌터카, 롯데렌탈
3. 반도체 SK하이닉스의 HBM 경쟁력 부각 및 중국 YMTC의 294단 낸드 양산 소식 - 관련주: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제주반도체, 코리아써키트
|
MARS만의 특별한 알고리즘으로 차트 및 재무를 분석하고 평가합니다. |
* 해당 투자기간과 수익률은 시장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금일 오전 9시 30분 기준으로 포착되었습니다. 주가가 오랜기간 충분히 조정 후, 최근 이슈를 통하여 시장의 관심을 받아 단기 추세선에 올라탄 종목을 발굴하는 검색기 입니다. 스윙 포지션에 적합합니다. |
LYFT는 최근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 반등을 시도하는 초기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거래량 증가와 함께 주요 이동평균선들의 골든크로스가 발생하여 기술적 반등 신호가 포착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가격대가 주요 저항선 근처에 위치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LYFT는 최근 5분기 동안 꾸준한 매출 성장을 보이며, 특히 영업현금흐름이 큰 폭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수익성 지표는 아직 변동성이 있으나, 최근 분기들에서 손실 폭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현금흐름의 감소는 비용 효율화 노력을 반영하며, 전반적인 재무구조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기업의 기본적인 수익 창출 능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다만, 순이익의 변동성이 여전히 높아 안정적인 수익구조 확립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112일선과 224일선의 골든크로스는 중기 추세 전환의 신호입니다. 5분봉 기준으로 112선 위에서 거래되는 것은 단기 상승세가 유효함을 의미하며, 이는 매수 시점 포착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일목균형표의 선행스팬 1,2를 주요 지지선으로 설정하고, 해당 선 하향 이탈 시 즉각적인 손절매가 필요합니다.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상승이 이어질 경우 단계적 이익실현을 고려해야 하며, 112일 이동평균선 하향 이탈 시 포지션 축소가 필요합니다. |
224일 이동평균선을 중장기 트렌드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이평선 이격도가 적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상승 추세가 확인될 때마다 분할 매수 전략을 구사하되, 일목균형표의 기준선과 전환선의 배열을 참고하여 매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본 서비스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오늘의 마스레터는 어떠셨나요? 의견을 남겨주시면 더욱 알차고 실용적인 투자정보로 찾아올 수 있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