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18일 #트럼프파월해임 #국내테마주 코스피 2470.41 ▲22.98(+0.94%)
나스닥 16286.45 ▼20.71(-0.13%)
원-달러 환율 1,419.50 ▲2.50(+0.18%)
직전 거래일 장 마감시 기준 |
|
|
⏰ 20초만에 읽는 마스레터 ⏰
🌎 미국 증시 : 혼조세 마감
-
다우 1.33% 하락, S&P500 0.13% 상승, 나스닥 0.13% 하락
-
성금요일 휴장 앞두고 거래량 한산
-
미 국채 10년물 금리 4.90bp 상승한 4.3280%
-
WTI 원유 3.54% 급등한 64.68달러
🔥 주요 이슈
-
트럼프, 파월 연준의장 해임 압박 및 케빈 워시 후임 고려
-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코로나 이후 최대 폭락
-
ECB, 3대 정책금리 25bp 인하...6회 연속 인하
-
미국, 이란 압박 위해 중국 정유사 제재로 유가 급등
📊 특징주
-
허츠(HTZ): 빌 액크만 퍼싱스퀘어캐피털 지분 확대로 44% 급등
-
일라이릴리(LLY): 경구용 비만치료제 임상 성공으로 14% 급등
-
TSMC(TSM): AI 수요 강세로 1분기 실적 예상 상회
|
|
|
🌈 한국증시 : 강세 마감
-
코스피 0.94% 상승한 2470.41, 코스닥 1.81% 상승한 711.75
-
기관 3462억 원 순매수, 개인·외국인 순매도
-
금통위, 기준금리 2.75% 동결
📋 주요 테마
-
정치: 이재명 후보 지지율 39%로 선두, 싱크탱크 "성장이 시대정신" 강조
-
AI/휴머노이드: CJ대한통운-레인보우로보틱스 물류로봇 MOU 체결
-
이차전지: 민주당, 이재명 공약에 배터리 산업 육성 정책 포함 추진
-
한미 협상/조선: 한덕수 총리 "관세 조기 협상이 기회", 알래스카 LNG 협상 본격화
-
반도체: 2분기 D램·낸드 가격 3~8% 상승 전망, 관세 부과 전 비축 수요 증가
|
|
|
다우존스: 39142.23 ▼527.16(-1.33%)
나스닥: 16286.45 ▼20.71(-0.13%)
S&P500: 5282.70 ▲7.00(+0.13%) |
|
|
뉴욕증시는 '성금요일' 휴장을 앞두고 한산한 거래량 속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기업별로는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부진한 실적으로 22% 넘게 폭락했고, 허츠는 퍼싱스퀘어캐피털의 지분 확대 소식에 44% 급등했습니다.
미국 국채가격은 4거래일만에 처음으로 하락했습니다. 휴장을 앞두고 거래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하락 압력을 가했습니다.
WTI 원유는 미국의 이란 압박 강화로 3.54% 급등한 배럴당 64.68달러에 마감했습니다. |
|
|
1. 트럼프의 파월 의장 해임 압박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할 수 있다고 압박하며,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를 후임으로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파월 해임이 금융시장 불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며 트럼프를 설득 중이며, 워시 역시 파월의 임기 보장을 조언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2.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급락
필라델피아 연은 4월 제조업지수가 코로나 사태 이후 최대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경기 확장과 위축을 가르는 '0'을 하회하며 2023년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시장 예상치(2.0)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물가 압력 관련 지수들은 모두 상승했습니다.
3. ECB, 6회 연속 금리 인하
유럽중앙은행(ECB)이 3대 정책금리를 각각 25bp 인하했습니다. 인플레이션 둔화와 통화정책 전이 강도를 반영한 결정으로, 통화정책 기조에 관한 문구에서 '제약적'이라는 표현이 삭제되었습니다.
4. 국제유가 급등
WTI 원유가격이 3% 넘게 급등했습니다. 미국이 이란을 압박하기 위해 중국 정유사를 제재 대상에 포함시키면서 원유 공급 부족 우려가 확산된 영향입니다. |
|
|
1. 허츠(HTZ)
자동차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주회사입니다. 빌 액크만의 퍼싱스퀘어캐피털이 허츠 지분 4.1%를 매입하고, 주식과 스왑을 통해 총 19.8%까지 지분을 확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가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 투자의견: 행동주의 투자자 빌 액크만의 개입으로 경영 개선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2024년 테슬라 전기차 투자 실패로 인한 재무적 어려움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려울 수 있어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합니다.
2. 일라이 릴리(LLY)
당뇨병에 주력하는 제약사이며, 항우울제인 프로작또한 유명합니다. 일라이 릴리의 경구용 체중감량제 'orforglipron'이 임상시험에서 오젬픽 주사제와 동등한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들은 이 약을 복용하여 평균 16파운드(체중의 7.9%)를 감량했는데, 이는 오젬픽의 최고 용량(6% 감량)보다 우수한 결과입니다.
- 투자의견: 주사제 대신 경구용 체중감량제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높아 장기적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큽니다. 임상시험 종료 시점에도 체중감량 정체기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점은 추가적인 긍정 요인입니다.
3, TSMC(TSM)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이며, 시장 점유율이 50%가 넘습니다. TSMC는 2025년 1분기에 주당 순이익(EPS) 2.14달러를 기록하며 예상치인 2.03달러를 상회했습니다. 매출은 25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5.3% 증가했으며, 2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284억~292억 달러로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 투자의견: AI 칩 수요 강세와 함께 미국의 관세 이슈에도 불구하고 고객 계약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반도체 산업 내 선도적 위치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알코아(AA)
미국 최대의 알루미늄 제품 제조사입니다. 알코아는 2025년 1분기에 주당 순이익(EPS) 2.15달러를 기록하며 예상치인 1.58달러를 36% 상회했으나, 매출은 33.7억 달러로 예상치인 35억 달러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조정 EBITDA는 8.55억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78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 투자의견: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알루미늄 관세(Section 232)가 연간 약 1억 달러의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어 단기적으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
|
코스피: 2470.41 ▲22.98(+0.94%)
코스닥: 711.75 ▲12.64(+1.81%)
코스피200: 326.30 ▲2.77(+0.86%) |
|
|
코스피, 코스닥 모두 상승마감하였습니다. 기관이 3462억 원 순매수한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874억 원, 3520억 원 순매도했습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2.75%로 동결했으며, 트럼프 관세 조치 이후 관망적 입장을 취했습니다.
테마별로는 웹툰, AI, 방산 테마가 강세를 보였고, HD현대중공업(+3.68%), 한화에어로스페이스(+3.55%), 삼성바이오로직스(+3.52%) 등 대형주 위주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
|
1. 정치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이 39%로 타 후보들을 크게 앞서는 구도가 형성되었습니다. '이재명 싱크탱크' 유종일 대표는 "성장이 시대정신"이라며 AI 기반 제조혁신을 강조해 성장주 및 제조업 관련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관련주: 상지건설, 아이앤씨, 코나아이, 위세아이텍, 라온피플
2. AI/휴머노이드 로봇
‘이재명 싱크탱크’ 유종일 대표가 "AI로 제조업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CJ대한통운과 삼성전자 자회사 레인보우로보틱스가 'AI·휴머노이드 물류로봇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 관련주: 포바이포, 엑스페릭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라온피플, 두산로보틱스
3. 이차전지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의 핵심 공약에 이차전지(배터리) 산업 육성 정책을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반도체, AI에 이어 배터리를 미래 핵심 산업으로 분류하고 대규모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
|
|
1. 한미 협상/조선
한덕수 총리가 "관세 조기 협상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한미 간 알래스카 LNG 협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미국 CSIS는 조선 산업 재건을 위해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의 협력을 제시했습니다.
- 관련주: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SK오션플랜트, 한국가스공사, 한국선재
2. 미중 갈등
미중 관세무역 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미국이 관세협상국들에 중국을 겨냥한 '2차 관세'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내년 중국 HBM 자급률이 7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미국은 엔비디아 칩 규제 외에도 중국 AI 발전을 저지하기 위한 추가 카드를 검토 중입니다.
- 관련주: 피델릭스, 서플러스글로벌, 자람테크놀로지, 노바텍, 유니온
3. 방산
트럼프가 각국과 '관세·국방비 패키지 딜'을 추진하며 "생산적이다"라는 만족감을 표현했습니다. 미일 협상에서 방위비를 연계한 트럼프의 전략이 다음 주 한미 관세협상의 예고편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관련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현대로템, 삼현
4. 비만치료제
일라이릴리의 경구용 비만치료제 'orforglipron'이 최종 임상시험을 통과했습니다. 이 약물은 당뇨병 환자들의 체중을 평균 7.9% 감량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뉴욕증시에서 일라이릴리 주가는 14% 폭등했습니다.
- 관련주: 올릭스, 펩트론, 샤페론, 인벤티지랩, 휴온스글로벌
|
|
|
1. 반도체
2분기 D램·낸드 가격이 3~8% 오를 것으로 전망되며, 관세 부과 전 메모리 비축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TSMC는 역대 1분기 최고 실적을 기록했는데, 이는 관세 부과 전 주문이 쏟아진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 관련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에이직랜드, 한미반도체, 피에스케이홀딩스
2. 금
파월 의장의 '통상전쟁' 경고에 금값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불확실성 증가와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되며 금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관련주: 고려아연, TKG애강, 영풍, 엘컴텍, 풍산
|
|
|
※ 본 서비스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이며,
투자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
|
MARS
Copyright ©2024 MARS, All rights reserved.
|
|
|
|
|